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Frontend
- Performance
- IndexedDB
- temporal
- json formatter
- nuxt
- date
- epoch converter
- certbot
- 자바스크립트
- 크론
- WebSQL
- tool
- 브라우저
- cookie
- JS
- JavaScript
- localstorage
- nginx
- 크론탭
- 단축키
- 서버
- 리눅스
- 성능
- db
- 저장소
- sql formatter
- text difference checker
- vue
- sessionStorage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WebSQL (1)
개발하다가 글쓰는 블로그

웹 브라우저에서 사용 가능한 저장소는 다양하다. 크롬 기준 개발자도구에서 Application으로 들어가면 Storage 항목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것들이 모두 사용가능한 저장소들이다. Trust Tokens, Interest Groups는 표준은 아니고 크롬에서만 지원하는 기능인 듯 하다. 이번 글을 작성하면서 각 Storage에 대해 정리 해보고 특히 잘 사용하지 않는 IndexedDB의 사용법도 공부했다. 1. Cookie 쿠키는 웹 서비스에서 무상태(Stateless) 프로토콜이 HTTP에 상태를 주입하기 위해서 사용한다. 주로 인증 정보나 사용자 트래킹 정보등이 저장된다 쿠키는 매 HTTP 요청마다 보내지기 때문에 많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경우 통신이 비효율적이므로 가능하면 작은 양의 데이터를 저..
개발
2023. 2. 5. 13:15